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 팬데믹과 관련해 세계보건기구, WHO의 선언이 늦었다는 지적이 지배적인데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WHO에 선언 연기를 요구했기 때문이라는 의혹이 독일 언론을 통해 제기됐습니다
보도에 김상우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1월 코로나19 감염자가 진원지 우한을 넘어 홍콩과 싱가포르 등 주변국에서도 속출했습니다
그 무렵 세계보건기구, WHO는 이례적으로 이틀 연속 긴급회의를 가졌습니다.
하지만 국제적 비상사태로는 선포되지 않았습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 WHO 사무총장 (지난 1월 23일) : 중국 내에서는 비상사태이지만, 국제적인 보건 비상사태는 아직 아닙니다. 아직 그런 단계 아닙니다.]
당시 WHO의 이런 입장에 대해 독일 언론이 자국 해외정보기관을 인용해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관련 회의가 열리는 1월 21일 WHO 사무총장에게 전화를 해 사람 간 전염과 팬데믹 경고를 연기해 달라고 요청을 했다는 주장입니다.
1월 21일은 미국에서 우한을 다녀온 남성이 첫 확진을 받은 시점.
1월 20일에는 우한 외의 중국 지역에서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했고, 한국에서도 첫 환자가 나와 당시 팬데믹 선언이 예상됐습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선언이 늦어지면서 전 세계가 코로나와 싸울 수 있는 시간을 4주에서 6주 정도 낭비했다는 것이 독일 연방정보부의 평가라고 슈피겔은 전했습니다.
또 미국 등에서 제기 중인 중국 상대 손해배상의 승소 가능성을 낮게 내다봤습니다.
유엔 최고법정인 국제사법재판소를 통해 진행될 수 있지만 중국이 자료를 제출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 WHO는 트위터를 통해 "시 주석과 WHO 총장이 통화를 하지 않았다"며 "부정확한 보도는 코로나를 종식시키려는 노력에 방해가 된다"며 보도를 반박했습니다.
최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코로나 사태와 관련해 "중국이 끔찍한 실수를 덮으려 했다"고 공격했고,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도 "거대한 증거"가 있다며 중국 책임론을 정면으로 제기했습니다.
YTN 김상우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00511032500261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