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이달부터 접종할 예정인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19 백신이 1차 접종만으로 보호 효과가 76%를 보이고 효력도 3개월간 유지된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습니다.
또 1회차와 2회차 접종 간격을 12주로 할 경우 보호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원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아스트라제네카와 코로나19 백신을 공동개발하고 있는 영국 옥스퍼드대학이 지난해 12월 초 영국과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진행한 임상시험 결과를 논문으로 공개했습니다.
대상은 18살에서 55살까지 만7천 명이었습니다.
논문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처음 접종하고 22일째 되는 날부터 효과가 나타나 90일째까지 76% 수준의 보호 효과가 유지됐습니다.
접종간격에 따른 효과는 12주 뒤 2회차 접종을 할 경우면 82.4%로 가장 높았습니다.
1회차 접종과 2회차 접종 간격을 6주 미만으로 설정하면 효과가 54.9%로 낮아졌습니다.
접종 간격이 4주였을 때는 보호 효과가 평균 62%였습니다.
각국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접종 간격에 따른 백신 효과가 공개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경우 영국 정부가 시행 중인 12주 간격 1·2차 접종일 때 가장 효과가 좋다는 결과가 나온 셈이 됐습니다.
이와 함께 이번 논문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1회차만 맞아도 감염 검사 결과 양성 판정이 평균 67% 감소한 것으로 보고돼 1회 접종만으로도 바이러스의 전염 가능성이 상당히 줄어들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임상시험을 이끈 앤드루 폴러드 옥스퍼드대 교수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간격을 4주에서 최장 12주로 늘린 영국 정부의 지침을 지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임상 시험 결과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긴급 사용 승인을 신청한 25개 규제기관에 제출될 예정입니다.
그러나 이번 임상 시험 결과를 담은 논문에는 또 다른 논란거리인 65살 이상 고령층에 대한 백신의 효능을 뒷받침할만한 자료는 담기지 않았습니다.
YTN 김원배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10203165401743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