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7차 핵실험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한미일 외교차관이 만나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이번 협의에서 세 나라는 북한이 핵실험을 실시할 경우 단호한 대응을 재확인하면서 동시에 대화를 통한 해법을 강조했습니다.
도쿄 이경아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6월에 이어 넉 달 만에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가 도쿄에서 열렸습니다.
한 시간 반 동안 진행된 협의에서 세 사람은 북한의 잇단 탄도미사일 발사와 핵 위협에 대해 강한 우려를 드러냈습니다.
이와 함께 북한이 핵실험을 실시할 경우 단호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같이했습니다.
[조현동 / 외교부 제1차관 : (북한이) 핵무기 사용 위협을 노골화하는 있는 상황에서 3국이 긴밀히 공조를 지속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특히 3국은 북한이 끝내 7차 핵실험을 감행할 경우 전례 없이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습니다.]
세 나라는 북한 비핵화를 위한 지역의 억지력 강화와 안보리 등 유엔을 통한 대응, 그리고 외교적 노력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습니다.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은 일본 언론에 "북한이 조만간 핵실험을 실시할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견해"라고 밝혔습니다.
핵실험에는 대가가 따를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면서 동시에 북한에 대화를 촉구했습니다.
[웬디 셔먼 / 미 국무부 부장관 : 우리는 북한에 추가 도발 행위를 하지 말 것을 촉구합니다. 우리는 조건 없이 북한과 대화에 나설 용의가 있습니다.]
세 나라는 특히 최근 출범한 시진핑 3기 체제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눈 뒤 새 지도부를 주시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중국의 세력 확장을 강하게 견제했습니다.
[모리 다케오 /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 :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의 정세을 포함한 논의를 진행해 힘에 의한 일방적 현상 변경 시도를 용인할 수 없다는 인식을 공유했습니다.]
미국은 타이완 해협의 평화와 안정이 중요하다며 타이완 방위를 위해 한국, 일본과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세 나라는 이와 함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영토 병합은 유엔 헌장 위반이라며 핵무기 사용이 있어서는 안된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또 기후 변화와 공급망 교란 등 국제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과제에 대해서도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도쿄에서 YTN 이경아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중략)
YTN 이경아 (kalee@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21027004147651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