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민주화운동 제43주년을 맞아 광주에서는 추모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습니다.
당시 시민군의 최후 항쟁지였던 옛 전남도청 앞에서는 전야제가 열려 5·18의 숭고한 정신을 기렸습니다.
나현호 기자입니다.
[기자]
거리로 쏟아져 나온 시민으로 폭이 30~40m가 되는 도로가 가득 찼습니다.
1980년 5·18 민주화 운동 당시 계엄군의 무차별 발포에 많은 시민이 목숨을 잃었던 금남로,
참가자들은 저마다 희망과 구호를 담은 플래카드를 들고 힘차게 행진합니다.
[정대만 / 5·18 전야제 민주평화 대행진 참가자 : 코로나 때문에 오랜만에 나왔는데, 5·18 정신을 다음 세대한테 전달하는 게 또 어른의 몫이라고 생각해서 나왔습니다.]
제43주년 광주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두고 옛 전남도청 앞에서 전야제가 열렸습니다.
거리에는 5·18 정신을 알리고 표현하는 난장 부스 20여 개가 들어섰고, 문화 예술 공연도 이어졌습니다.
당시 시민군이 먹던 주먹밥을 직접 만들어 보고, 서로 나누기도 하며 대동 정신을 이어갑니다.
이번 43주년 5·18 전야제 주제는 '끝까지 우리는 정의파다'입니다.
참다운 민주와 정의, 평화를 중심으로 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투혼을 담았습니다.
지역 극단 등 예술인 150명이 참여한 공연이 총체극 형식으로 펼쳐지며 감동을 이끌었습니다.
[김영미 / 5·18 전야제 참가 시민 : 축제로 승화하는 그런 무대, 장이 마련된 것 같아서 굉장히 고무적이었고, 저도 함께 박자를 맞췄습니다. 인상 깊었습니다.]
전야제에는 수많은 시민과 각계, 여야 정치인까지 모여 43년 전 광주시민이 열망했던 대동 세상을 외쳤습니다.
하지만 정작 일부 5·18 단체가 불참한 데다, 그동안 수면 아래 있던 여러 갈등이 노출되면서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YTN 나현호입니다.
촬영기자 문한수
YTN 나현호 (nhh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30518004314304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