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가로, 해외로 떠난다 하지만 피서지의 대명사는 뭐니뭐니해도 계곡입니다.
지저귀는 새소리 들으며 얼음장처럼 시원한 계곡물에 발 담그고 있으면 이곳이 무릉도원인가 싶죠?
하지만 신선놀음도 잠시, 백숙 요금을 보면 정신이 확 듭니다.
백숙 세트가 무려 25만 원.
계곡이어서 그런가? 가격마저 등골이 서늘합니다.
목 좋은 곳마다 천막과 평상이 자리 잡고 있어서 음식을 안 시키면 계곡물에 발도 못 담급니다.
지자체와 산림청은 뭐하나 싶으실 텐데, 단속하러 나가거든요?
이런 말을 듣는다고 합니다.
"벌금 냈으니 된 거 아니냐."
벌금 수준이 어떻길래 적반하장으로 나오는 걸까요.
권준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성수기 주말엔 하루 4천여 명이 찾는 북한산 우이동 계곡.
[지역 주민 : 원래 하천 부지가 개인 땅은 아니에요. 그런데 자기네 (식당) 바로 앞이니까 자기네 손님만 받겠다고.]
물가로 내려가는 길이 식당에 막히면서, 음식을 주문하지 않고선 계곡 물에 발을 담그기조차 어렵습니다.
[A 씨 / 계곡 방문객 : (술이랑 이런 거 했을 때 얼마에요 한 상에?) 한 상에 30만 원. 세트가 25만 원이고 술값은 따로고.]
길만 틀어막은 게 아닙니다.
계곡 물을 끌어와 식당 안 수영장에 채워 넣기도 하는데, 여기서 나온 오염수는 별다른 여과 조치 없이 계곡으로 그대로 흘려보냅니다.
"아니지. 어떻게 그게 불법이야."
이곳 계곡에서 적발된 불법 사항은 지난해에만 60여 건.
[김경화 / 산림청 산림환경보호과 : 행정 명령을 해서 자진 철거할 수 있도록 하고 만약 시정되지 않으면 처벌을.]
하지만 식당 한 곳에 부과되는 변상금은 평균 2백만 원, 손님에게 백숙 여덟 상만 팔면 받을 수 있는 금액입니다.
[이순희 / 강북구청장 : 자연도 훼손되고 계곡을 찾는 사람들한테도 불편함이 있고 합동 단속반을 구성했다는 것은 저희가 계곡에 대해서 정비하겠다는 의지를 갖고서.]
[B 씨 / 계곡 방문객 : 시민들이 계곡을 무료로 개방된 걸 이용할 수 있으면서 저렴한 가격의 식당이 준비가 돼서 취식할 건 취식하고, 물놀이는 물놀이할 수 있고 조금 이렇게 개선됐으면 (좋겠습니다).]
콜라 한 병과 담배 한 갑 때문에 한밤중 난동이 벌어졌습니다.
시작은 콜라였어요.
편의점에 들어선 40대 남성은 "콜라 외상을 안 해주면 ... (중략)
YTN 안보라 (anbora@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30809090500122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