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소액결제 사기 피해를 본 KT 이용자들의 휴대전화에 불법통신장비가 연결된 정황을 확보하고 수사 중이다. KT가 사건을 알고도 의도적으로 신고를 지연했다는 의혹도 일고 있다.
10일 경찰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에 따르면 KT는 지난 8일 불법 초소형 기지국 통신망에 고객들이 접속한 것이 이번 사고의 원인일 수 있다고 당국에 신고했다. KT 기지국이 아닌 허위 기지국으로 만든 통신망에 이용자를 접속하게 해 개인정보를 빼내는 식의 범행이 추정된다는 취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또한 이날 “해당 (허위)기지국을 활용해 무단 소액결제가 이뤄졌는지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KT가 자체 파악한 결과 이날 현재까지 무단 소액결제 피해 건수는 278건, 피해액은 총 1억7000만원으로 나타났다.
━
허위 기지국 이용한 정황…국내 첫 사례
허위 기지국을 이용해 해킹하는 수법은 국내선 첫 사례다. 다만 해외서 이미 유사 사례가 있었고, 학계서도 꾸준히 제기됐던 위험임에도 보안 대비가 전무했단 비판이 나온다. 지난 4월 태국에선 무선 소형 기지국 장비를 백팩에 숨기고 쇼핑몰 고객에 대량 문자를 전송해 스미싱 범죄를 저지른 홍콩인 조직원이 검거됐다. KT 사례처럼 문자를 통하지 않은 한층 고도화된 수법도 있었다. 지난 5월 튀르키예에선 중국계 스파이 조직이 가짜 기지국을 활용해 정치 인사들의 통화내용 등을 탈취했다. 아울러 가상 기지국만 다른 곳으로 옮기면 추가 피해도 발생 가능한 방식이기도 하다.
━
KT, 사건 지연 신고 의혹 &nbs...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65940?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