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9월 15일 월요일,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
먼저 조선일보입니다.
우리나라와 타이완의 1인당 국내총생산, GDP가 22년 만에 역전될 거로 보입니다. 내친김에 타이완은 내년 1인당 GDP 4만 달러를 뚫을 가능성이 높은데요. 우리는 10년째 3만 달러 선에 갇혔다는 내용입니다. 타이완은 2021년 1인당 GDP 3만 달러를 돌파한 지 불과 5년 만에 '4만 달러' 클럽에 가입하는 것입니다. 2018년만 해도 우리나라가 1만 달러 가까이 앞섰는데 이젠 추월당했습니다. 올해 타이완 경제 성장률은 4.4%, 우리는 0.9%입니다. 전문가들은 그 배경으로 타이완의 AI 반도체 '선택과 집중' 전략'을 꼽습니다. 파운드리 분야라는 확실한 성장 엔진을 찾은 뒤 정부가 전폭적으로 지원하면서 가속 페달을 밟았습니다. 반면 한국은 최근 10년간 새 먹거리를 찾지 못했는데요. 우리 주력 수출 품목은 반도체 빼고 20년째 거의 그대로입니다. 여기에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한국 과학 인재들은 해외로 빠져나가는 중이죠. 관련 내용은 잠시 후 뉴스타트 3부에서 전문가와 함께 더 자세히 풀어드리겠습니다.
다음은 한국일보입니다.
오는 29일부터 내년 6월까지 중국인 단체 관광객은 비자 없이 15일 동안 한국을 여행할 수 있게 됩니다. 유커의 귀환에 유통업계가 들썩이고 있습니다. 국내 업체들은 중국 현지에 가서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중국 SNS 홍보도 늘리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인기가 많은 배우를 홍보 모델로 내세우기도 합니다. 직원들 대상으로 자체 어학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도 하고요. 알리페이, 위챗페이 등 중국 간편결제 서비스를 지원하는 매장도 늘리고 있습니다. 10월 초엔 중국 최대 명절인 국경절과 중추절이 있고 같은 달에 경주에서 APEC 정상회의까지 있는데요. 이 기간에 특히 중국인 관광객이 늘어날 거로 보입니다. 다만 중국인의 한국 관광 트렌드가 소규모, 개별 관광으로 바뀌었다는 게 예전과 달라진 점인데요. 그래서 가파른 매출 상승을 기대하긴 쉽지 않을 거란 전망도 있습니다.
다음 기사 보겠습니다.
이르면 내년 하반기부터 출생신고만 해도 자동으로 아동수당을 지급하는 방안이 추진됩니다. 보건복지부가 대통령실에 보고했다는 자... (중략)
YTN 정채운 (jcw178@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915063508456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