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전문직 비자의 수수료를 현재에 비해 100배 수준으로 크게 올리기로 했습니다.
전문직 비자를 받으려면 10만 달러, 우리 돈으로 약 1억 4천만 원을 내야 한다는 겁니다.
국제부 연결해서 알아봅니다. 기정훈 기자!
[기자]
국제부입니다.
비자 수수료로 1억 원이 넘는 돈을 내야 한다는 게 잘 이해가 가지 않는데, 무슨 얘깁니까?
[기자]
예. 흔히 전문직 비자로 불리는 H-1B 비자에 해당하는 얘깁니다.
H-1B 비자는 과학·기술·공학·수학 분야의 전문 직종에 적용되는 비자로, 추첨을 통해 1년에 8만 5천 건만 발급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3년 체류가 허용되며, 연장도 가능하고, 영주권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각 19일, 이 H-1B 비자의 수수료를 10만 달러, 우리 돈 약 1억 4천만 원으로 크게 올리는 내용의 포고문에 서명했습니다.
현재 수수료가 천 달러 수준이니까 100배 가량 올리는 겁니다.
게다가 이 금액은 한 번 내고 끝나는 게 아닙니다.
한사람 당 1년 치의 금액이어서 최대 6년의 체류기간 동안 매년 같은 금액의 수수료를 내고 갱신해야 합니다.
기업들이 해외인력을 미국으로 들여오는 데 더 신중해질 수밖에 없게 됐습니다.
미국 상무장관의 설명을 직접 들어보시죠.
[하워드 러트닉 / 미국 상무장관 : 갱신할 때든, 첫 신청할 때든 기업은 그 사람이 정부에 매년 10만 달러를 낼 만큼 가치가 있는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올려도 너무 크게 올리는 것 같은데 이렇게까지 올리는 이유가 뭔가요?
[기자]
한마디로 일자리 때문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H-1B 비자 발급이 미국인의 일자리를 빼앗는다는 인식을 갖고 있습니다.
기업들이 H-1B 비자를 활용해서 저렴한 비용으로 외국 인력을 데려오면서 미국인의 일자리가 잠식된다는 겁니다.
H-1B 비자를 받은 사람들 중에는 중국인과 인도인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추첨 방식으로 배정하다 보니 회사들이 지나치게 많이 신청하는 부작용이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
AP통신은 이 비자가 미국 내에서 채용하기 힘든 유능한 전문직을 해외에서 유치하기 위한 것인데 실제론 미국인보다 적은 연봉으로도 일하려고 하는 외국인을 들여오는 파이프라인으로 변모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즉 기업들이 고임금의 미국인을 쓰... (중략)
YTN 기정훈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920115411650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